창원의 민간주도 문화예술축제 ‘씨티포레스트페스티벌(이하 씨포페)’이 6월 26일(목)~28일(토) 창원 가로수길 일대에서 진행된다. ▲ ‘City Forest Festiva 2025’ 포스터 올해로 3회를 맞이하는 씨포페는 ‘휴식’이라는 주제로 쉼을 위한 축제인 ‘CITY FOR REST’로 진행된다. 개최에 앞서 지난 6월 17일 씨포페 준비운영위원회 대상 설명회가 진행됐고, 해당 위원회는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이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삼성생명, 행정안전부와 함께 지역 비영리 청년 단체를 발굴해 지원하는 ‘지역 청년 지원사업 4기(운영단체 뻔한창원)’의 일환으로 구성됐다. 또한 위원회에서 진행한 축제 서포터즈인 ‘포레스터’ 크라우드 펀딩은 140% 달성률로 성공했다. 포레스터는 씨포페 공식 서포터즈(창원 내 대학생, 청년 연합 축제 서포터즈)로, 2:1대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됐으며 축제의 홍보부터 운영까지 직접 참여해 축제를 함께 만들었다. 이번 축제는 ‘휴식’을 키워드로 도심 속 힐링의 공간과 지역 예술인, 상권과 협업한 다양한 공연·파티의 장을 준비했다. 먼저 26일부터 27일까지 가로수길 소공원에서는 ‘휴식’을 상징하는 침대 포토존과 공원에 앉
미래가 눈 앞에 펼쳐진 전시장 그리고 사람 전쟁의 신으로 불렸던 마스(화성 Mars)는 사실 지구보다 작다. 화성은 평균지름이 지구의 약 절반 정도인 작은 행성이지만 그 아름다운 빛깔 때문인지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행성이다. 화성으로 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화성의 공전궤도는 타원형이며, 이 때문인지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노선을 고르기가 쉽지 않다. 호기심 많은 지구인은 화성의 일상을 상상하지만, 그 실체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어, 2025년 6월 18일 화성의 정명근 시장은 화성의 현실 알려주기 위해 지구에 ‘Mars 2025 AI’ 박람회’를 개최했다. ▲ MARS 2025 포스터 그 박람회를 가기 위해 아침에 우리 일행이 선택한 노선은 No, 1006 셔틀 우주선이다. 화성의 인근 소행성까지 운항하는 1006 셔틀은 비교적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셔틀이다. 제시간에 맞추지 못하면 놓치는 경우가 있어 서둘러 준비를 맞추고 탑승했다. 소행성에 도착한 셔틀에서 내려 지구 궤도에 진입하는 우주 열차로 갈아타야 한다. 지구궤도에 진입하는 열차는 2호선 그린(green) 노선으로 지구를 순환하는 구조다. 화성의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는
1801년 흑산도에서 홍어를 사서 돌아오던 중 태풍을 만나 조선 역사상 가장 긴 표류 여정을 남긴 인물인 신안 우이도 출신 문순득(1777~1847). 그의 놀라운 생애를 기리는 ‘2025 신안국제문페스타’(이하 문페스타)가 오는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신안군 우이도, 도초도, 흑산도에서 개최된다. ▲ ‘2025 신안국제문페스타’ 포스터 극단 갯돌과 세계마당아트진흥회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섬과 바다, 사람과 예술을 잇는 섬 문화 축제로, 섬을 사랑하는 여행자들이 직접 참여해 섬을 배우고 이동하며 경험하는 ‘섬 로드스꼴라’ 프로그램이다. ‘로드스꼴라(Road Scholar)’는 ‘놀면서 배우는 길 위의 학교’라는 의미로,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각국의 특성에 맞게 운영되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섬 로드스꼴라, 세 섬을 하나의 교실로 만들다 ‘문페스타’의 로드스꼴라에 사전 신청한 여행자들은 3박 4일 동안 우이도, 도초도, 흑산도를 차례로 탐방하며 각 섬의 역사·생태·문화를 배우고 지역민과 교감하는 시간을 갖는다. 여행자들에게 길동무가 돼줄 전문가들도 주목할 만하다. 이윤선 서해안포럼 이사장, 이재근 신안군 학예사, 이영일 흑산도 자산어보 마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