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겨울 사랑/ 문정희

                                     겨울 사랑/ 문정희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머뭇거리지 말고 
                                    서성대지 말고
                                    숨기지 말고

                       그냥 네 하얀 생에 속에 뛰어들어
                             따스한 겨울이 되고 싶다.
                               천년 백설이 되고 싶다.



문정희 시인

1947년 전라남도 보성에서 출생. 동국대 국문과와 同 대학원 졸업.
서울여대 신학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 받음.
1969년 《월간문학》신인상 당선을 통해 등단.
저서로는 시집으로 『찔레』, 『아우내의 새』, 『남자를 위하여』를 비롯하여
한국 대표시인 100인 시선집 『어린 사랑에게』과 시극집 『도미』등 다수 있음.
'현대문학상'과 '소월시문학상'을 수상. 현재: 동국대 명예교수


시 읽기 / 윤형돈

문정희 시인의 ‘겨울 사랑’ 방식은 지극히 간단하고 쉽다 나이 불문코 사랑을 소원하는 世人이면 누구나 단박 도전이 가능하다. 아니 간단하다 못해 단순명료하고 복잡하지 않다 사랑의 소품이나 배경도 특별한 도구나 절기가 필요한 게 아니다 그냥 ‘눈송이처럼’ 투명한 얼음 결정체가 내리는 게슴츠레한 겨울날이면 족하다.

좁은 문의 제롬처럼 내성적으로 머뭇거리거나 주저하고 꾸물거리거나 굼뜰 이유도 하등 필요 없다. 게다가 비극의 햄릿처럼 좌불안석으로 주위를 왔다 갔다 서성거리거나 앞뒤를 재며 무언가를 자꾸 비겁하게 숨기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있는 그대로 순수 그 자체인 자연의 벌거숭이로 내리되, 축 처져 야윈 어께를 보듬듯 살포시 내려앉거나 여차하면 상대 진영 속으로 냅다 게릴라처럼 뛰어들 듯 침투하여 침윤하고 젖어들면 그만인 것이다

그러다 꽃송이처럼 한데 뒤엉기어 내리면 무한 감사의 꽃다발로 강림할 것이다. 꼭 한 가지 절실한 바램이 있다면 그의 온몸과 영혼의 화신인 ‘생애’ 속에 장엄하게 뛰어들어 따스한 사계절이 되는 것이다. 부질없는 과욕이 아니라면, 천년지기 순백의 ‘백설이 되어’ 일곱 난장이들의 현몽(現夢) 속에 순한 짐승으로 살고 싶은 잔망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굳이 느릅나무 아래 느물느물한 욕망에 유혹되거나 물레방아 돌아가는 욕구의 현장에 추파를 던지며 괜한 감정의 낭비를 부추길 이유도 없다.

이 겨울이 끝나기 전에 그런 사랑을 해보고 싶다. 우리가 서로 사랑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세상의 강가에서 ‘똑같이 시간의 돌멩이를 던지며 운다’는 것에 있다는 데 말이다. 이건 정말 가혹한 ‘겨울 사랑’의 절대 명제인지도 모른다.



포토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